파트타임 대학원 논문 작성 2. 본론 내용

파트타임 대학원 직장인이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을 기록합니다. 오늘은 논문 본론 작성 두 번째 단계, 본론 내용 작성을 위한 재료를 찾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를 통해 수행된 업무에서 본론을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생각했던 구성이 맞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전 단계에서 파트타임 논문을 보며 구성을 연구 분야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이렇게 어느 정도 구성까지 잡힌 단계라면 자신의 논문 주제와 가장 가까운 논문들이 연구 이론, 구성 별로 몇개씩 있을 것입니다. 이 논문들을 참고하여 본론의 재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논문 본론 읽기

논문을 읽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에 맞게 읽는 것입니다. 현재 목적은 본론 내용을 어떻게 채울지 고민하는 것입니다. 이 때 주요하게 보아야 할 부분은 이론 식, 표, 적용 방법 정도입니다.

논문 정리하는 모습입니다.

요리를 할 때 레시피를 참고하여 요리를 하면 쉽고 빠르게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습니다. 검증이 된 기본 레시피에서 자신만의 재료, 방법을 더해 특별한 요리를 만들면 레시피를 처음부터 만드는 것보다 성공할 확률을 높이고 시간과 에너지를 아낄 수 있습니다. 논문도 이와 같습니다. 이미 검증이 된 많은 논문들이 공개되어 있고 이를 참고하여 재료들을 모아 나에게 맞게 수정하면서 작성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성공 확률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 단계는 자신의 논문에 적절한 연구 이론, 적용 방법, 표 등을 참고 논문에서 캡쳐하여 내게 필요한 데이터를 식별하고 적용 가능한지 검증하는 것입니다. 즉 여러 논문에서 내게 필요한 부분만 가져오면 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정리해도 되지만 저는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본론 정리 방법

1. 논문 주제, 구성 적기

2. 연구 이론 : 참고 논문 이론적 배경 부분에서 논문에 사용할 식, 변수들의 의미를 정리

3. 적용 방법 : 나의 논문 구성에 맞는 분석 방법, 그림, 분석 표 및 결과를 정리

논문 흐름도 작성 예시입니다.

저도 정리를 해보니 하나로 생각했던 이론이 두 분야로 나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연구 이론을 둘로 나누어 정리를 하였습니다. 이론 식을 사용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결과를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지 참고 재료들을 흐름 별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흐름 별로 구성을 하게 되면 ‘필요하지만 없는 데이터, 없다면 어떻게 가정할지, 표의 X축과 Y축 구성’와 같은 고민, 질문들이 생길 것입니다. 이는 마지막 장에 따로 정리해두고 연구를 하며 사례를 찾거나 조언을 구하면 되겠습니다. 참고 논문을 통해 재료를 찾고 정리하는 단계를 적용하여 흐름을 빠르게 검증하고 효율적인 논문을 작성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